본 내용은 렛유인 자문내용을 참조로 써진 기사입니다.

▲ <우리나라 자동차업계 개편과정, 출처-한국자동차산업> |
[업코리아=공주대학교 신재술 청년인재기자] 오늘날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 직·간접 고용인원은 180만 명에 달하며, 이는 총 고용의 7.3%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동차 제조부문(완성차 제조, 부품제조 등)이 32만 명, 생상소재부문(철강, 기계, 금속 등)이 12만 명, 판매정비부문이 24만 명, 활용지원부문(도로, 할부, 리스, 광고, 운전학원, 손해보험 등)이 28만 명, 운송·이용부문(여객운수, 화물 운송 등)이 83만 명을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 자동차업계 개편 과정을 살펴보면,
① 현대자동차
1967년 12월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브랜드를 유지하며 성장하고 있다. 현대모비스의 모체가 되는 현대정공이 일부 차종을 완성차 형태로 생산하다가, 1991년 10월에 현대자동차로 합병되었고, 오늘날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부품 부문만을 담당 하고 있다. 1999년 글로벌 경제 위기 때 기아자동차를 인수 하였지만, 기아자동차라는 브랜드는 계속 유지하고 있다.
② 기아자동차
1944년 12월에 설립된 경성정공이 모태가 되어, 1962년 10월 기아산업으로 시작되었다. 아시아자동차를 중간에 인수하였고, 1990년 3월에 지금의 기아자동차라는 브랜드가 출발되었다. 1999년대 글로벌 경제위기 때 현대자동차와 합병되었지만, 현대 기아자동차로 명명하면서 공장, 판매, 영업 등은 기아자동차의 원래 그대로 유지하는 등 기아자동차 브랜드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단, R&D 같은 경우는 예외로 현대자동차에서만 진행된다.
③ 대우자동차
1955년 2월 설립된 신진공업이 모태가 되어, 1962년 1월 설립된 새나라 자동차를 1965년 7월에 인수하면서 신진자동차공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게 된다. G.M.K ,새한자동차를 거쳐 1983년 1월에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대우자동차라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한다. 1980년대 까지는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이 높았지만, 대우그룹 경영상의 문제로 운영이 힘들어지면서 GM이 인수하게 되고, GM에서 아예 한국GM으로 개명하면서 대우라는 브랜드는 아예 없어지게 된다. 한국GM으로 통합되면서 GM코리아에서 직접적으로 판매되는 일부 차종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GM그룹 내에 있는 쉐보레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
④ 쌍용자동차
하동환 자동차 제작소가 1955년 12월에 설립되어, 하동환 자동차 공업, 동아자동차를 거쳐 1988년 3월에 쌍용자동차라는 브랜드로 개편된다. 그러나 쌍용자동차 역시 경영이 힘들어지면서 2011년 3월에 M&M그룹에 편입된다. 쌍용자동차라는 브랜드 유지되고 있지만, 많은 차종 운영은 하고 있지 않다.
⑤ 삼성자동차
1998년 2월 삼성자동차로 시작되지만, 삼성자동차 역시 경영상의 이유 등으로 2000년 9월 르노삼성으로 통합된다.
우리나라에는 큰 5가지 자동차메이커가 있었지만, 경영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자동차메이커끼리 인수합병, 브랜드 통폐합하고 되었고, 세계적으로도 이런 자동차메이커들의 통합이나 분리 등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렇지만 대체로 자동차 그룹 형태로 되어 별도의 자동차 자회사나 브랜드는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 렛유인 자동차 스터디>
공주대학교 신재술 청년인재기자